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기연민과 감사

마음챙김 이야기/마음챙김 철학

by 챙김이 2024. 5. 6. 16:54

본문

이미지 출처 : https://pin.it/7aDoXG6Z8

 

 

자기 연민과감사

 

자기 연민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우리 자신을 사랑스럽고 대하고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을 포용하는 적극적이고 수용적인 관계 방식이라 있습니다. 

우리의 뇌는 생존, 번식을 위해 부정적인 , 잘못된 것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는 생존 확률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입니다. 그러나 이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경험하지 못하고 자기 중심적이고 자의식에 사로잡힌 경험으로 만들기도 하기에 심리정서적 건강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부정적인 것에 치우치지 않고 현실을 투명하게 보고, 느낄 있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경험을 의도적으로 알아차리고 긍정적인 것을 내가 경험했다는 즐거움, 행복감을 느껴야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 뇌가 부정편향 되어있기 때문에 좋은 경험은 흘려보내고 부정적인 상황, 상대에 대한 기억은 지나치게 크게 느끼고 오래 기억하며, 그로 파생되는 미래에 대한 부정적 결과까지 계산하며 필요 이상으로 소모된 에너지를 충족시켜야 우리가 새로운 도전을 하며 힘있고 활기찬 일상을 보낼 있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치우치지 않고 균형된 인식, 현실 지각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경험에 의도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며 긍정정서를 느끼는 것이 필요합니다. 마음 챙김과 자기 연민 훈련과 마찬가지로 훈련이 필요한 것입니다. 고통스러운 감정 또한 나의 경험임을 받아들이는 것이 자기 연민이기 때문에 그렇게 있는 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높일 있는 방법 또한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고 에너지 수준이 향상될수록 우리는 안정감과 안전하다는 느낌을 느끼게 됩니다. 생각해 보면 부부갈등이 심한 가정에서 성장한 아이의 경우에는 부정적인 것이 외부에도 확장되는 것을 있습니다. 학교에서 다른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위축감을 느끼고 소심해지고, 사람에게 쉽게 다가가지 못합니다. 반면, 편안한 가정에서 성장한 아이의 경우 학교 생활에서 많은 도전을 하는데 주저함이 없습니다. 호기심을 갖고 외부 환경이나 타인을 탐색합니다. 새로운 놀이에 대한 관심도, 새로운 음식에 대한 관심도 갖게 됩니다. 그렇게 외부에 관심을 갖고 탐험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눈에 띄지 않는 기회를 만날 있고, 그로인해 삶을 확장할 있기 때문입니다.

 

“행복의 한 문이 닫히면 다른 문이 열리지만, 우리는 종종 닫힌 문을 너무 오래 바라보기 때문에 우리를 위해 열린 문을 보지 못합니다.” - 헬렌 켈러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부정 편향은 자의식 강화, 불안장애, 우울증, 편집증, 기타 모든 심리적 장애와 관련이 깊습니다. 그러기에 최근 심리학에서는 사람들이 긍정적인 감정을 키우는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많은 연구에서 확인된 가지 강력한 방법은음미하는 감사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