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상별 이야기
중독에서 벗어나는 효과적인 방법
우리는 모두 강박이나 중독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원하지 않아요. 과식이나 폭식, 감정조절, 도박, 성 등의 많은 중독이 있고 해로운 습관인 것을 알면서도 통제하지 못하는 이들이 무수히 많습니다.중독을 해결 방법, 통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나와있고, 그것을 믿고 따라하며 자신을 돌봐주려는 이들 또한 너무나도 많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또 한번의 좌절감을 느끼곤 하는 것이 현실입니다.중독이나 해로운 습관은 나쁜 것도 아니고 실패도 아닙니다. 유전적인 요인도 있고, 문화적인 요인, 가족적 요인도 있습니다. 우리는 중독의 사회에 깊이 빠져있기도 합니다.음식부터 우리가 보는 사소한 미디어 자극, 끊임없이 오감을 통해 들어오는 많은 것들이 우리를 자극하고 쾌와 불쾌를 느끼며 더욱더 즐거운 ..
-
증상별 이야기
사회불안을 만드는 신념
https://youtu.be/5s6Fy5pxs6Y?si=7asi5Rf98ldX_yxW 사회불안, 애착불안 등 관계에서의 불안감을 겪고 있는 분들은 생각보다 참 많습니다.사람들이 불편하고, 실수를 두려워하게되고, 평가 판단하는 눈초리가 두려워 점점 더 지치게 되고 회피하고 싶어지는데요. 그런 경우 자신이 믿고 있는 신념이 유연하지 못해 세상과 타인을 더 힘들게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렇기에 자신이 믿고 있는 신념, 생각들이 어떤 것인지 돌아보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신념을 더 자각할수록 그것이 우리의 정신에 미치는 영향력이 줄어듭니다. 이러한 자각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자신이 굳게 믿고 있는 신념들의 목록을 작성하는 것입니다.자신을 제한하고 두려움에 기반한 신념들을 깊이 성찰하고 적어보세요...
-
우리 일상의 삶
프레드 브라이언트 박사가 제안하는 삶을 향유하기 위한 10가지 방법
사람들은 부정적 사건을 미리 대처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쓰곤 합니다. 자기계발 서적이나 미디어의 각종 채널들은 질병과 이혼, 관계 갈등 등 우리 삶의 부정적인 사건을 다루는데 필요한 정보가 많습니다.‘향유’에 대한 연구자이자 저자인 로욜라 시카고 대학교의 사회심리학자 프레드 브라이언트는 “사람들은 좋은 일이 일어나면 자연스럽게 기쁨을 느끼지만, 그 일에 대해 충분히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합니다.긍정적인 일이 일어났을 때 주의 깊게 살펴보고 경험하며,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는 것은 행복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그것은 마음으로 그 경험을 온전히 느끼고 흡수하는 것과 같습니다. ‘향유’에 대한 논문을 쓴 뉴질랜드 빅토리아 대학의 에리카 채드웍과 조르디 콰이..
-
증상별 이야기
생각을 대하는 방법, 분별하지 않음
우리는 많은 시간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생각에 빠져 하루를 보냅니다. 그러나 그러한 생각은 두서없는 생각의 차원일 뿐입니다. 심지어 많은 분들이 마음챙김을 하는 순간에도 생각을 하곤 합니다. 사실 마음챙김을 하려고 앉는 순간 오히려 생각이 더 많이 떠오르기도 합니다. 마음챙김을 하는 순간 떠오른 생각은 아주 유혹적일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마음챙김은 어떤 것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침묵하며 생각하는 나를 인식하고 관찰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의식이 생각 속에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아차리는 것이 마음챙김입니다. 생각은 마음챙김의 유용한 도구입니다. 생각을 관찰하는 힘이 생길수록 생각 자체에 빠지지 않고 생각의 본래 성질을 알게 됩니다. 생각의 내용에 빠져 헤매는 것이 아니라 생각이 어떻게 일어나고..
-
마음챙김 모임
2024년 마지막 마음챙김 수련 - 6주과정
본 과정은 심리 상담학계, 의료계의 최첨단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인식 훈련 연구소(Awareness Training Institute)에서 개발된 6주간의 마음챙김 기초 과정입니다. 참여하신 분들은 호흡 인식 방법, 인식(awareness, 알아차림)이란 무엇인가, 감각, 생각, 감정을 인식하고 어떻게 관계 맺어가야하는가와 같은 마음챙김의 원리에 감춰진 여러 의미를 배워나가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혼자 수행하며 깊이있는 마음챙김, 명상 경험이 필요했던 분들에게 유용한 시간, 깊이 자신과 접촉하고 깨어나는 경험의 시간이 되실 것입니다.명상의 깊이를 더하고자 하는 분,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나 생활의 변화와 적용에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했던 분들, 정서적 어려움을 신체로 경험하..
-
삶을 사는 방법을익히는 수행 [八正道]
어떤 분들은 나는 불교를 믿지도 않는데 왜 불교 교리를 배워애 해? 그렇게 생각하시는 분도 계실 것입니다. 저는 여러분들과 불교 교리를 함께 나누고자 함이 아닙니다. 그 보다 여러분들이 살아가며, 수행하며 발견해야할 개인 고유의 내적 갈등, 집착하고 갈애하는 것을 스스로 알아차리는 것을 돕고자 하는 것입니다. 나아가 집착을 덜 만들고 살아가기 위한 삶의 운용 방법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그러기에 전통적인 법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닌 심리학적, 상담학적 관점, 심리 치료의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라 함이 더 맞을 수 있을 것입니다. 고통 없이 살아가는 것, 집착을 버리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더 잘하고 싶고, 최선을 다해 삶을 살아내고 싶은 갈망은 누구에게나 있기에 이 고통은 인류 보편적이라 할 수 ..
2025.03.10 14:18 -
고통없이 사는 삶에 대한 진리
고통 없이 사는 삶, 그것을 불교에서는 ‘해탈’이라고 말합니다. 무엇인가를 집착하는 마음을 비워낼때 마음이 편안해 집니다. 그렇게 고통으로부터 해방된 편안한 상태를 ‘니르바나’, 고통으로부터의 해방, 해탈을 의미합니다. 니르바나는 조건지어진 무엇을 비움으로써 찾아오는 평안함이라는 의미가 있기에 행복과 평온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니르바나는 언어로 표현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자유로움, 평안함, 깨어남 등의 말로 표현할 수 없이 가벼워지는 복합적인 경험입니다. 그러기에 집착과 갈애의 완전한 종식의 결과라고 정의 되기도 합니다.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보더라도 이는 충분히 설명되는 부분입니다. 모든 인간의 심리적, 신체적 어려움이 내적인 갈등과 불균형에서 온다는 것은 여러 학자들에게 증명되었고 과학적으로도 입증이 ..
2025.03.10 14:13 -
평안하고 지혜로운 삶, 현재…이 순간에 사는 법
우리는 모두 행복하기를 원합니다. ‘두카(dukka)’는 고통을 의미하고 행복은 ‘수카(sukka)’라는 단어로 표현됩니다. ‘두’는 ‘나쁜’을 의미하고 ‘수’는 ‘좋은’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수카, 행복한 상태가 반드시 고통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어원상 ‘두카’는 나쁜 상태의 바퀴, 중심을 벗어난 바퀴를 의미합니다. 경로를 이탈 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고통의 원인이 되는 것은 우리가 본질로부터 멀어진 무엇 때문에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것에 집착하는 마음 때문에 본질이 아닌 것을 잡고 끊임없이 매달리거나 극도로 회피하려는 것이 고통, 두려움, 불안을 불러온다는 것입니다. 그러한 욕망, 집착이 크던 작던 간에 우리가 알아차리지 않는다면 어느 순간에는 눈덩이처럼 커져..
2025.03.10 14:09 -
고(duka)의 진리는 무엇인가?
여러분들은 ‘삶은 고행이다’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괴로움도 있고, 아픔도 있는 것이 삶이기는 합니다. 두통이 오기도 하고 감기에 걸리기도 하고 감정적인 아픔은 세상살이에 불가피한 것이기도 합니다. 주변 사람이 힘들어하는 것을 봐도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스스로가 힘든 순간도 있고 그런 것이 우리의 일상입니다. 그러나 부처님이 말씀하신 고는 이런 것이 아닙니다. 사성제의 맥락에서 ‘고’란 ‘불가피한 것’과 ‘조건적인 것’을 구분해야 합니다. 불가피한 괴로움은 우리 삶에서 피할 수 없는 고통입니다. 신체적으로 아프거나 병환으로 고통을 받을 때, 중요한 사람과 사별했을 때 느끼는 고통과 같은 것입니다. 반면 조건적인 괴로움은 우리가 싫어하거나 집착하거나 정당화할 때 나타나는 반응, “이런 일이 왜..
2025.02.26 18:11 -
'두카' dukkha 란?
현재에 있어야 하는, 현존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존을 통해 얻는 것은 무엇인가?현존해야 하는 이유는 무수히 많습니다. 자신을 사랑하기 위해서도 현존해야하고, 감사하고 경외감을 느끼기 위해서도 현존해야 합니다. 즉, 행복하기 위해서는 현존해야 합니다.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이 나에게 의미 있는지, 어떤 삶을 살길 원하는지, 그런 나에게 어떤 것이 축복인지 이 순간 느끼며 살아간다면 분명 그것은 우리에게 에너지, 활력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일상에서는 그렇게 달콤한 것만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더 많은 순간 우리가 원치 않는 상황일 것이고 그런 순간이야말로 지혜가 필요한 순간일 것입니다. 부처님이 코삼비의 숲속에 머무를때 손에 나무잎을 집고 비구들에게 말했습니다. “비구들이여, 내 손..
2025.02.26 18:06 -
'인식'과 '알아차림'에 대하여....
현재 접점을 인식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여러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두 가지 예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손에 종을 꽉 쥔다고 상상해 보세요. 종을 꽉 쥐고 그 종을 치면 어떤 소리가 날까요? 아마도 둔탁한 소리가 날껍니다. 천천히 손을 펴서 종을 살짝 잡고 치면 듣기 좋은 종소리가 날 껍니다. 이런 변화의 중심이 ‘손의 쥠’이라는 것을 알았을 때 사티는 부드럽게 ‘손의 쥠’으로 향합니다. 그리고 사티의 저항하지 않고 모든 긴장을 푸는 것을 시도합니다. 꽉 쥔 것이 없어짐으로써 우리 자신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세계가 직접 접할 수 있게 됩니다. 긴장된 꽉 쥔 손, 저항하는 손 모두가 완전히 이완되고 부드러움과 섬세함으로 우리 세상을 만나게 될 수 있는 이치가 바로 이것입니다. 또 하나의 예는 ..
2025.02.26 17:50 -
마음챙김 '사티'란 무엇인가?
옛날 옛적에는 사람들은 맨발로 다녔습니다. 어느 날 여왕이 길을 걷다가 돌에 발을 베었습니다. 여왕은 화가나 대신들을 모두 불러 온 나라의 땅을 가죽으로 모두 덮을 것을 명령했습니다. 그 말을 들은 현명한 대신 한 명은 보다 간단한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온 나라를 가죽으로 덮는 대신 발을 가죽으로 덮어씌우는 것이 낫겠습니다.” 그 말을 들은 여왕은 그의 말에 동의 하였고 그것이 신발의 유래가 되었습니다.발을 보호하기 위해 나라를 가죽으로 덮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도 모르게 이와같은 일을 하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잠시 생각해 보세요. ‘나는 ~는 절대 안 해!’, ‘나는 그런 사람과는 절대 상대 안해!’, ‘그런 건 미리 대비해야 해!’, ‘나는 ~는 안 먹어!’ 등 마..
2025.02.26 1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