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행복하기를 원합니다.
‘두카(dukka)’는 고통을 의미하고 행복은 ‘수카(sukka)’라는 단어로 표현됩니다.
‘두’는 ‘나쁜’을 의미하고 ‘수’는 ‘좋은’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수카, 행복한 상태가 반드시 고통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어원상 ‘두카’는 나쁜 상태의 바퀴, 중심을 벗어난 바퀴를 의미합니다.
경로를 이탈 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고통의 원인이 되는 것은 우리가 본질로부터 멀어진 무엇 때문에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것에 집착하는 마음 때문에 본질이 아닌 것을 잡고 끊임없이 매달리거나 극도로 회피하려는 것이 고통, 두려움, 불안을 불러온다는 것입니다. 그러한 욕망, 집착이 크던 작던 간에 우리가 알아차리지 않는다면 어느 순간에는 눈덩이처럼 커져 이탈된 경로의 문제가 수면으로 드러나게 됩니다.
이는 한 세대에서 나타나지 않으면 다음세대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문화적으로 공유되고 가치체계로 전수되어 그 가정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하나의 집단 무의식이 되기에 그렇습니다.
그렇기에 불교철학에서는 현재순간을 알아차리는 것을 매우 강조합니다. 괴로움은 현재순간에만 나타납니다.
괴로움의 원인인 집착, 갈애하는 마음도 현재 순간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비록 괴로움을 불러일으키는 조건은 과거에 발생했더라도 그것을 떠올리는 것은 현재 일어나는 것입니다.
현재순간에 우리는 고통의 원인도, 지혜로운 선택도 모두 할 수 있습니다.
아주 단순하게 깨닫고 선택하는 것, 내가 지금 이러고 있구나….라고 인식하는 것은 현재 이 순간입니다.
수행을 하며 먼저 우리 자신을 현재 이 순간에 안정되게 있도록 해야하는 이유는 온전히 우리 몸과 마음 안에서 머물며 호흡의 소리, 몸의 감각에 귀를 기울이고 담고 있는 의미를 느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차분하고 고요하게 앉아 몸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살펴보면 몸에서는 내 마음에서 일어나는 것을 말해주고, 내가 조금전까지 살아왔던 순간을 말해주고, 내 생각들이 만들어낸 결과, 집착하는 마음과 그 정도를 다 이야기 해주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몸과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느껴야 할 것입니다.
현재 이 순간에 있게 되면 이제 우리의 경험(탐욕, 성냄, 고통의 과정)을 탐험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 이 순간으로 돌아와 인식하면 과거의 기억과 감정에 묶이지 않고 고요함에 있을 수 있어집니다.
이 순간에 주의 기울여보세요.
https://youtu.be/DBKqkFbJvPc?si=h78yPSGSx2UMILXe
삶을 사는 방법을익히는 수행 [八正道] (1) | 2025.03.10 |
---|---|
고통없이 사는 삶에 대한 진리 (0) | 2025.03.10 |
고(duka)의 진리는 무엇인가? (0) | 2025.02.26 |
'두카' dukkha 란? (0) | 2025.02.26 |
'인식'과 '알아차림'에 대하여.... (0) | 2025.02.26 |